본문 바로가기
★ 쥬토끼의 내 꿈 키우기/주린이 성공기

[2차전지] 테슬라 배터리데이 허와 실?!

by 쥬토끼의 정보마켓 2020. 9. 2.


안녕하세요 쥬토끼에요🐰

 

 오늘 미국 증시는
기술주를 중심의 큰 폭의 조정으로
급락한 가운데

우리나라 증시는
어제 발표된 뉴딜정책 발표 효과와
동학개미들이 또 버텨내며
놀라울만큼 지수 선방 했어요👍🏻


그동안 테슬라를 주도로
기술주의 급등세와 우상향 성장세가 뚜렷했는데요

갑작스런 하락세가 기술주 거품론을
수면위로 올렸어요

이런 장세가 계속해서 이어질지 지켜봐야겠지만
이번 달에 있을 테슬라 배터리데이가
크게는 미국에 대한 투자심리와
2차전지 산업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아주 궁금해요




오는 9월 22일 테슬라가 예고한
新기술 발표에는

어떤 시나리오가 나올 수 있을지 알아봤어요


테슬라의 배터리데이


 

 


OPTION 1. 전고체전지

 

 

차세대 전해액으로 꼽히는 전고체전지의

자체 개발을 완성했다는 시나리오예요

 

2019년 전고체전지 R&D 업체인 맥스웰 인수와

건식 전극공정 기술을 보유한 장비업체
하이바 시스템즈를 인수한 테슬라가
전고체전지의 자체 개발 가능성이 있어요

 

하지만 전고체전지 개발에 성공했다 하더라도

양산에 이르기까지는 설비구축 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슈성은 좀 떨어질 것 같아요

 

 


OPTION 2. CATL 생산 배터리 주력화

 

 

현재 테슬라는 중국 배터리 생산업체 CATL에서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공급 받고 있는데요

양사는 수명을 160만km로 늘린 배터리를

공동 개발 중이라고 밝힌 바가 있어요

 

혹시 이 배터리 개발에 성공했다면

파나소닉과 LG화학 공급 물량을

CATL 생산 배터리로 전환한다는 시나리오에요

 

하지만 LFP의 근본적인 한계점인 낮은 에너지밀도와

최근 CATL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에서의 잇단
화재 등을 고려해볼때 완전 대체는 어렵지 않나
생각돼요

 

 


OPTION 3. 배터리의 자체 생산

 

 

 테슬라는 배터리 생산 내재화를 위해

꾸준히 투자해왔어요

 

 테슬라가 인수하는 기업의 주요사업들과
2차 전지 산업에서 셀기업과 소재공급업체와의
밸류체인 중요성을 고려한다면

테슬라가 장기적으로 전기차시장 선두를
유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이뤄내야할 성과인것 같아요


문제는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는 점인데요

(쥬토끼 피셜로)

최근 진행한 액면분할의 효과로

소액투자자의 진입도를 높이고

정확한 자금 사용처가 밝혀지지 않은 유상증자 계획도

배터리 자체 생산에 투입될 자금조달의 수단으로

작용하는게 아닌지 조심스레 무게를 실어볼게요

 

 


OPTION 4. 획기적인 원가 절감

 

 

테슬라가 생산 원가를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코발트 소재에 대한 언급을 많이 했는데요

코발트 함량을 아주 낮춘 하이니켈 양극재 도입이나

아예 코발트 함량을 제로로 만드는
코발트프리 양극재 도입 시나리오예요

 

 

그리고 생산공정에서의 원가 절감 측면으로는

자회사 맥스웰의 건식 전극 코딩의 기술 발전이

가능성 있어요

 



최근 테슬라 홈페이지는 배터리데이를 컨셉으로

메인 이미지를 변경했는데요

일부 전문가들은 나노와이어를 암시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을 내놓기도 해요
하지만 테슬라 CEO가 쇼맨십이 강하고
화자들의 상상력을 이끌며 이슈화를
즐기는 성향이라는 점에서
핵심주제일 가능성이 적을 수도 있다고 봐요


출처: 매일신문



과연 테슬라의 배터리데이 이슈는 무엇이고
그 결과가 우리나라, 그리고 세계의
2차전지, 전기차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지
9월 증시에서도 배울 점이 많을 것 같아요

그럼 오늘도 열공해 보아요🐰🥕

댓글